본문 바로가기
역사, 문화, 인물/대서양; 유럽, 아메리카, etc.

[정리중] 18-20세기 미국사 불렛포인트

by 소하리바 2021. 12. 13.

목차

여성의 재산권 박탈: 1769

미대륙 식민지는 여성의 재산권을 인정하지 않는 영국의 시스템을 그대로 도입했다.

미국 독립 전쟁: 1775-1783

미대륙 13개 식민지가 대영제국을 상대로 독립 전쟁을 벌였다. 

미국 독립 선언: 1776

1776년 7월 4일 당시 영국의 식민지 상태에 있던 13개의 주가 서로 모여 필라델피아 인디펜던스 홀에서 독립을 선언했다.

여성의 투표권 박탈: 1777

미대륙의 모든 주가 여성의 투표권을 인정하지 않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19세기, 남북전쟁 이전 (Antebellum Era)

U.S. Exploring Expedition: 1838-1842

'명백한 운명(Manifest Destiny)' 소개: 1845

미합중국은 북미 전역을 정치·사회·경제적으로 지배하고 개발할 신의 명령을 받았다는 명백한 운명 이론이 주장되었다. 이는 미국의 팽창주의와 영토 약탈을 합리화했다.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 1848-1855

미개발 지역이었던 캘리포니아에서 금이 발견되면서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일확천금의 기회를 노리고 캘리포니아에 몰려들었다. 이들은 촌락을 형성했으며 이러한 촌락은 남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세네카 폴스 컨벤션(Seneca Falls Convention)과 세네카 폴스 선언: 1848

1840년 런던에서 열린 반노예제도 세계 대회에 참석했던 미국 여성들은 남성 동료들이 여성들의 협조에 대하여 보상하고, 대회에서 주요 역할을 담당할 것을 믿었다. 그러나 여자라는 이유로 회의장에 들어갈 수 없었고 미국 여권 운동의 가장 중요한 두 지도자였던 루크레티아 모트와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튼도 대회에서 한마디도 발언하지 못했다. 모트와 스탠튼은 남성들이 여성들을 침묵하게 한 것에 분노했으며 노예제 폐지 운동 뿐만 아니라 여성의 권리를 위한 운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하고 모임을 결성했다.

8년 후인 1848년, 300명의 여성과 남성들은 뉴욕 주의 세네카 폴즈에 모여 <입장 선언>과 12개항의 결의안을 내놓았다. 이는 세계 최초의 여성권리대회이다. 선언에서 참여자들은 재산권은 물론 법적 행위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인격으로 인정받지 못하던 당시 미국 여성의 처지를 비판하며, 천부인권론을 근거로 여남이 동등하다고 천명했다.

1850년 협정 또는 대타협 (Compromise of 1850 or Great Compromise)

멕시코 전쟁 이후 미국 땅이 한 차례 더 확장되면서 새로운 영토에서 노예제를 따를지의 여부를 법제화했다.

(두 번째) 도망노예법 (Fugitive Slave Act): 1850;

두 번째 도망노예법이 1850년 9월에 법제화되었다. 법의 집행을 거부하거나 도망자를 놓친 보안관, 흑인을 도망가게 도운 개인에게는 벌금이 부과됐으며 보안관은 민병대를 소집할 수 있었다. 도주 사실 및 도망자를 확인하는 것 모두 일방적인 증언만으로 결정되었으며 도망 노예가 원 주인에게 반환될 경우, 노예를 데리고 온 사람은 노예 1인당 10달러가 포상으로 지급되었다.

  • 1854년, 영국 시인 코벤트리 팻모어의 <The Angel in the House>가 발표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이 시는 가정 밖에서 피땀에 절어 집으로 돌아온 남편을 정화하는 '도덕적으로 우월하나 지능적으로 열등'한 존재로서의 여성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 같은 해,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의 <월든>이 발표되었다.
  • 1855년, 월트 휘트먼의 <나의 노래>가 처음으로 출판되었다.

링컨의 당선: 1861년

공화당 소속 에이브러햄 링컨이 남부 주에서 선거인단을 단 1명도 얻지 못했음에도 미국의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이에 위협을 느낀 남부에서는 연방정부의 금을 훔치고, 연방정부의 전략요충시설을 점령하고, 군대를 모집하며 전쟁 준비에 착수했다.

남북전쟁 시기: 1861-1865

남북전쟁 발발: 1861

1861년 4월 12일, 남부 연맹이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위치한 연방정부 소유의 섬터 요새(Fort Sumter)를 포격했다.

노예 해방 선언 (Emancipation Proclamation): 1863

1862년 에이브러햄 링컨이 발표한 노예 해방령은 이듬해인 1863년 1월 1일부터 발효되었다.

(남부) 재건 시대(Reconstruction Era)의 시작: 1863-1877

전후(Postbellum Era): 1865-

(미 전역) 재건 시대(Reconstruction Era)의 시작: 1865-1877

전쟁이 끝난 후, 북부를 중심으로 하여 나라를 융합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었다. 각 지역의 자율성을 존중하되 큰 틀의 헌법 안에서 조율하려는 시도였으나 결국은 실패로 돌아가게 된다.

자유민사무국의 창설 그리고 KKK단의 창설: 1865

1865년 3월, 의회법에 의해 전쟁부처 산하에 자유민사무국이 설립되어 자유민이 된 노예가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되었다.
한편, 테네시주에서 6명의 퇴역군인이 KKK단(Ku Klux Klan)을 창설했다.

이는 남북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남과 북의 의견 차가 여전했다는 것을 보여주며 재건 시대가 그리 성공적으로 끝나지 않을 것임을 암시한다.

  • 1868년, 금을 채취하려는 광부들 간의 관계를 다룬 Bret Harte의 <The Luck of Roaring Camp>가 출판되었다. 이때부터, 도시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하는 지역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관심은 이후 지역주의 문학의 부흥으로 이어진다.

미국 수정헌법 제14조, 시민과 투표자를 남성으로 규정: 1866

첫 대륙횡단철도 완공: 1869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첫 대륙횡단철도가 완공되었다. 정부는 이 철도를 건설하기 위해 아메리카 원주민의 땅을 무상몰수하기도 했다.

철도의 건설로 자원 운송비가 대폭 절약되어 상업 및 산업이 크게 발전했다. 또한 서부로 길이 뚫리면서 많은 사람들이 기회를 찾아 서부로 몰려갔고 서부 개척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시작했다.

 

미국 최초의 대륙횡단철도(Transcontinental Railroad) 개통

1869년 5월 10일, 미국 최초의 대륙횡단철도(Transcontinental Railroad) 개통 미국의 영토는 남북전쟁 전에 이미 태평양까지 도달해 있었다. 그러나 미시시피 강을 넘어서면 서부는 황무지나 다름 없었다

blog.daum.net

지역주의(Regionalism) 문학의 부흥: 1870-1900

전후 미국은 하이퍼자본주의에 대한 반작용이자 옛 시절에 대한 향수를 그려낸 문학으로서 지역주의 문학에 매료되었다. 지역주의 문학은 리얼리즘의 한 갈래로, 시골 지역의 지리, 자연경관, 역사, 관습, 사투리를 그대로 담아내었으며 전통적 색채가 강한 촌락의 가정생활과 연대감을 그렸다. 화자는 주로 사건이나 등장인물과 일정 수준 이상의 거리가 있는 관찰자로 묘사되었다.

지역주의 문학은 공부를 하거나 높은 수준의 교양이 있는 사람이 아니어도 쓸 수 있는 문학이었기 때문에 지역주의 문학 작품을 집필하는 작가들은 주로 교육의 기회를 얻지 못한 여성들이었고 남성 작가들은 이 장르를 매우 무시했다. 그러나 남성 작가들의 무시와는 상관 없이, 지역주의 문학은 미국에서 인기를 끌게 된다. 특히 도시 사람들이 지역주의 문학에 큰 관심을 보였다.

  • 촌락 지역에서 억압당하는 여성의 삶을 그린 작가 메리 E. 윌킨스 프리먼의 <A Moral Exigency(1887)> <뉴잉글랜드 수녀(1891)>가 발표되었다. 프리먼은 이후 1926년에 National Institute of Arts and Letters에서 '최고의 소설가' 부문에서 여성 최초로 이디스 워튼과 함께 수상자가 되었다.
  • (지역주의 문학 X) 1892년, 월트 휘트먼이 <나의 노래>의 마지막 판을 발표했다. 같은 해, 샬롯 퍼킨스 길먼이 <누런 벽지>를 발표했다.

도금 시대 (Gilded Age): 1870-1900

미국의 자본주의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여러 사회적 부작용이 초래되었다. 겉보기에 화려하지만 속은 곪아 있다는 의미에서 '도금 시대'라고 일컫는 것으로, 마크 트웨인과 찰스 두들리 워너가 쓴 동명의 소설 <도금 시대, 오늘날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미국의 높은 임금으로 인해 해외의 노동자들이 유입되었으며 빈부격차가 극심했다.

대불황: 1873-1879;

1873년에 찾아온 세계 장기 불황은 1896년까지 이어졌다. 미국에서는 1879년까지 약 65개월의 장기불황이 이어졌으며 공황 이후에는 경제가 급성장기에 돌입해 1880년대까지 가장 빠르게 경제 성장을 이뤘다.

중국인 배제법 (Chinese Exclusion Act): 1882;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 대륙횡단철도 건설, 도금 시대의 일자리 창출 등으로 유입된 중국인의 숫자가 많아지자 정부에서는 노골적으로 중국인을 차별하기 시작했다. 중국인 광부는 남들보다 많은 세금을 내야 했으며 노동조합도 가입할 수 없었다.

1882년 중국인 배제법이 통과되면서 중국인 노동자의 입국이 금지되었다. 중국인이 입국하기 위해서는 매우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하여 노동자가 아님을 입증해야 했으며 기존에 미국에 살고 있던 중국인 이민자들도 재입국을 하려면 증명서를 지참해야 했다. 이에 중국에 가족을 두고 온 이민자들은 가족과 영영 헤어져 살든지, 다시 중국으로 돌아가든지의 선택지 사이에서 양자택일을 해야 했다.

이 법은 59년 뒤인 1943년에 폐지된다.

이민자법(Immigrant Act) 시행: 1891;

짐 크로우 시대 (Jim Crow Era): 1877-1950년대

1876년, 남부 연맹의 주들 및 일부 북부 주들에서 흑인과 백인을 분리하는 주법인 짐 크로우 법이 시행되었다. 이 법은 재건시대가 끝난 1877년부터 시민권 운동이 시작된 1950년대까지 계속 강화되었다. 

짐 크로우라는 이름은 백인이 흑인으로 분장한 블랙페이스 뮤직 코미디 쇼인 민스트럴 쇼의 1828년 히트곡인 'Jump Jim Crow'에서 유래했다.

개혁시대(Progressive Era): 1896-1916

사회운동 및 정치개혁을 향한 열망이 들끓었던 시기.

미국-스페인 전쟁과 파리 조약: 1898

쿠바는 미국의 주요 무역상대국이었으며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의 운하로 가는 통로가 있는 카리브해의 전략적 요충지였다. 45년 전인 1853년에 미국은 이미 스페인으로부터 쿠바를 매입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895년부터 쿠바의 스페인 식민지에서 독립을 위한 봉기들이 일어났으며 미국 등의 외부 단체는 쿠바를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1897년에 들어서는 30만 명 이상의 쿠바인이 집단수용소로 강제이주를 당해 학대받았다.

미국의 일반 여론은 쿠바를 강하게 동정했으며 미국 정부는 쿠바의 독립 그 자체보다는 미국의 이익을 위해 전쟁을 일으켰다. 같은 해 미국과 스페인이 워싱턴에서 평화의정서에 서명하고 12월에는 정식 평화조약인 파리 조약이 맺어지면서 전쟁은 끝났다. 이듬해 조약이 발효되면서 필리핀, 괌, 푸에르토리코, 쿠바 등의 스페인의 거의 모든 식민지가 미국의 소유가 되었다.

미국-스페인 전쟁은 남북전쟁을 거치면서 내부를 정비하고 미대륙을 개척해 부국이 된 미국이 그 힘을 바탕으로 제국주의적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자, 스페인 제국 붕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사건이다. 파리 조약으로 미국은 태평양까지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유럽열강에 필적하는 지위를 획득했다.

  • 1899년, 자유민사무국에서 설립한 흑인학교의 백인교사와 그 흑인제자 사이의 이야기로 미국의 인종 문제를 다룬 찰스 W. 체스넛의 <부케>가 발표되었다.

필리핀-미국 전쟁: 1899-1902

파리 조약으로 미국의 식민지가 된 필리핀은 독립혁명을 벌였다. 미국은 필리핀의 독립에 동의하지 않았고 전쟁이 발발했다.
전쟁은 미국의 승리로 끝나 필리핀 제1공화국은 멸망했으며 미국은 필리핀을 지배하게 되었다. 전쟁 중 100만 명이 넘는 필리핀인이 사망했다.

기혼 여성의 재산권 일부 인정: 1900

전미제정법은 결혼한 여성이 자신의 급료를 가지고 자신의 이름으로 재산을 관리할 권리를 인정했다.

20세기

미국 수정헌법 제18조, 금주법 비준: 1919

주류의 양조, 판매, 운반, 수출입, 소유, 소비를 금지하는 금주법이 비준되었다. 금주법의 시행으로 폭력조직의 활동이 촉진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에틸알코올 대신 공업용 알코올이자 독극물인 메틸알코올을 마시고 사망하기도 했다. 그러나 장점도 있었는데 음주량이 줄어들면서 

미국 수정헌법 제19조, 여성의 투표권 인정: 1920

19대 개정헌법에서 여성의 투표권 보장을 비준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