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7

환경주의 관련 용어들 숏터머 (short-termers) 자원을 추출하고 훼손한 다음 떠나는 이들. - 《느린 폭력과 빈자의 환경주의》 44쪽. 롱터머 (long-termers) 숏터머들이 파괴한 생태계에서 그 후유증을 겪으며 살아가고, 그에 따라 시간적 규모에 대한 가치를 숏터머들과는 다르게 두어야 하는 이들. - 《느린 폭력과 빈자의 환경주의》 44쪽. 칩코 운동 (Chipko movement) 숲의 남벌을 막기 위해 나무를 껴안고 떨어지지 않는 방법으로 인도 여성들이 벌인 운동. - 《느린 폭력과 빈자의 환경주의》 62쪽. 가장자리 효과 (edge effects) 두 생물 군집의 전이 지대ecotone에서 생물 개체의 종류와 수가 불어나는 현상 - 《느린 폭력과 빈자의 환경주의》 64쪽. 2022. 5. 10.
가정폭력과 증인의 정치학 - 느린 폭력과 빈자의 환경주의 To address violence discounted by dominant structures of apprehension is necessarily to engage the culturally variable issue of who counts as a witness. Contests over what counts as violence are intimately entangled with conflicts over who bears the social authority of witness, which entails much more than simply seeing or not seeing. The entangled politics of spectacle and witnessing have impli.. 2022. 5. 8.
[원문/번역/해석] D.H. 로렌스 - 피아노 Softly, in the dusk, a woman is singing to me; 황혼녘에, 한 여인이 내게 노래를 부르고 있다. Taking me back down the vista of years, till I see 노래는 나를 아름다웠던 추억 속으로 데려간다, 내가 A child sitting under the piano, in the boom of the tingling strings 한 아이가 피아노 아래에 앉아 있는 것을 볼 때까지, 피아노현이 얼얼하게 텅텅대고 And pressing the small, poised feet of a mother who smiles as she sings. 아이는 노래하며 미소짓는 어머니의 균형 잡힌 작은 발을 꾹꾹 누른다. In spite of mysel.. 2022. 4. 25.
유럽-미국 문학사조의 변화 19세기 말 - 20세기 초근대에 들어서면서 이미 신분사회는 무너지기 시작했지만 19세기 말 소비자본주의와 대도시의 출현으로 서구사회의 생활방식은 다시 한번 급격한 변화를 겪는다. T. S. 엘리엇이 《황무지》에서 인상적인 이미지로 그려낸, 정확한 시간에 통근하는 비슷한 외양의 군중의 모습은 현대의 획일화된 삶을 집약하는 상징이었다. 개인의 의식과 의지를 넘어서는 거대한 물리적 힘이 사회 전체를 조직하고 움직이면서 개인의 정체성 또한 정형화되고, 삶의 의미도 외적인 모습이나 행동보다는 감정과 의식으로 집중된다. 새로운 시간성 개념이 등장하여 객관적 시간보다 개인이 체험하는 인상으로서의 시간이 더 중요해졌고, 우리의 자아에 빙산의 아래쪽처럼 거대한 무의식이 존재한다고 주장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겉으로 .. 2022. 4. 7.
[발췌] 에코랄리아스 (대니얼 헬러-로즌 저, 조효원 역) 6장: 추방[62] 제자들의 설명은 이렇다.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언어를 망각하게 된 까닭은 그들이 한때 부여받은 땅에서 쫓겨난 이유와 정확히 일치한다. 즉 그들은 그 땅에 살고 그 언어를 쓸 자격을 상실한 것이다. 그들은 단지 지리학적으로만 추방당한 것이 아니었다. 그들은 언어학적으로도 추방당했다. 그리고 이 추방으로 인해 그들은 태곳적에 신께서 당신을 계시하시던 [목]소리로부터 돌이킬 수 없이 멀어지고 말았다. (…) 언어가 추방당했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 (…) [63] 추방당한 작가와 추방당한 언어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 후자의 추방은 결코 되돌릴 수 없다. [64] 이 제자들은 그들에 앞서 혹은 그들 이후로 누구도 보지 못한 한 가지 사실을 파악했던 것 같다. 그것은 언어 역시 기원의 장소에.. 2022. 3. 29.
[요약] 버지니아 울프 - 자기만의 방 1장 The title women and fiction might mean, and you may have meant it to mean, women and what they are like; or it might mean women and the fiction that they write; or it might mean women and the fiction that is written about them; or it might mean that somehow all three are inextricably mixed together and you want me to consider them in that light. But ... [a]ll I could do was to offer you an op.. 2022.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