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address violence discounted by dominant structures of apprehension is necessarily to engage the culturally variable issue of who counts as a witness. Contests over what counts as violence are intimately entangled with conflicts over who bears the social authority of witness, which entails much more than simply seeing or not seeing. The entangled politics of spectacle and witnessing have implications that stretch well beyond environmental slow violence. In domestic abuse, for instance, violence may be life threatening but slow, bloodless, and brutal in ways that are not always immediately fatal: a broken nose constitutes a different order of evidence from food or access to medical treatment or human company withheld over an extended period. A locked door can be a weapon. Doors for women are often long-term, nonlethal weapons that leave no telltale bloody trail; doors don't bear witness to a single, decisive blow. In many cultures, moreover, rape isn't defined as rape if it is inflicted by a husband. And in some societies, a rape isn’t rape unless three adult men are present to witness it. As the journalistic chestnut has it, “if it bleeds, it leads.” And as a corollary, if it’s bloodless, slow-motion violence, the story is more likely to be buried, particularly if it’s relayed by people whose witnessing authority is culturally discounted.
지배적인 이해 구조가 무시하는 폭력을 다루기 위해서는 누구를 증인으로 간주할 것인가라는, 문화적 변동이 심한 이슈를 끌어들여야만 한다. 무엇을 폭력으로 간주할 것인가를 둘러싼 다툼은 누가 증인으로서 사회적 권위social authority를 지니는가를 둘러싼 투쟁과 긴밀하게 얽혀 있다. 볼 만한 광경spectacle과 증언하기(또는 목격하기)witnessing의 얽히고설킨 정치학은 환경과 관련한 느린 폭력을 한참 능가하는 함의를 갖는다. 예를 들어 가정폭력domestic abuse가정학대에서 폭력은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지만, 매번 즉각적으로 목숨에 치명적이지는 않은, 즉 느리고 피를 보지 않으며 잔인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러진 코는 식량이나 의료적 치료에 대한 접근성, 인적 교류 등이 장기간 보류된 상황과는 다른 종류의 증거가 된다. 잠긴 문은 무기가 될 수 있다. 여성들에게 종종 문이란, 어떤 일이 있었음을 암시하는telltale 핏자국을 남기지 않고, 치명적이지 않으면서 장기간 유지되는 무기다. 다시 말해 문은 단 한 번의 결정타를 증언하지 못한다. 게다가 여러 문화권에서 남편이 저지른 강간은 강간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어떤 사회에서는 강간 현장을 성인 남성 3명 이상 목격하지 않으면 이를 강간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피를 흘려야 주목받는다”는 것은 언론계에서 진부한 이야기이다. 따라서 느릿느릿한 무혈의 폭력 이야기가 묻히기 쉽다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며, 증인으로서의 권위witnessing authority가 문화적으로 무시당하는 사람이 전달한 이야기라면 특히나 더 묻히기 쉽다.
- 롭 닉슨 《Slow Violence and the Environmental of the Poor》 p.16
'여성학, 젠더, 퀴어이론 > 논문, 저널, 비문학 출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역/요약] Rosalind Gill(2007), Analyzing Gender in Media Text (pp. 58-72) 요약 발제문 (0) | 2024.03.30 |
---|---|
조셉 프리스토우, 《섹슈얼리티》 1장 〈성 과학적 유형들〉 요약 (0) | 2023.03.13 |
[요약] The Evidence of Experience (1991) – Joan W. Scott (0) | 2021.03.31 |
[요약] 사이보그 선언문(도나 J. 해러웨이) (0) | 2021.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