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장르로서의 설화(folklore)와 스케치(sketch)는 특정 문화 내부의 정보를 반영한 문학 작품들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그러나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Folklore (설화, 민속극)
“The traditional beliefs, legends, and customs, current among the common people” (OED)
“The term folklore generally refers to certain of the spoken (or nonwritten) activities of complex literate cultures where only a minority can read and write and where the rest are illiterate, a frequent situation of the peasantry in the post-Bronze Age cultures of Europe and Asia especially.” (Encyclopædia Britannica, ‘oral literature’)
>> 보통의 사람들 사이에서 구전되는(orally transmitted) 이야기로서, 해당 집단 내부의 사람들은 작품에서 표현되는 문화적/역사적 배경에 대해 이미 이해하고 있다.
Literary Sketch
“short prose narrative, often an entertaining account of some aspect of a culture written by someone within that culture for readers outside of it” (Encyclopædia Britannica)
>> 짧은 길이의 서사적 산문으로, 문화 내부에 속한 사람이 문화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 전해주는 이야기를 뜻한다.
최초의 미국인 작가인 워싱턴 어빙(Washington Irving)은 설화를 스케치로 리메이크하고는 했는데 그 대표적인 예시가 <립 밴 윙클(Rip Van Winkle)>이다. 이 단편소설은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에 관심이 있는 뉴욕의 노신사 디드리히 니커보커(Knickerbocker)가 알아냈다는 황당하고도 신비한 이야기를 익명의 화자가 전달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립 밴 윙클의 내용은 캣츠킬 산맥 아래(the foot of Kaatskill mountains)의 마을에 살던 립 밴 윙클에게 일어난 일을 다룬다. 다람쥐 사냥을 하러 자신이 키우던 개 울프와 함께 산에 올라간 립 밴 윙클은 자신을 불러세워 도움을 요청하는 키 작은 남자를 따라갔다가 나인핀스 놀이를 하던 이국적인 차림의 키 작은 사람들이 권한 술(훌륭한 홀랜드산 술맛이 나던 liquor)을 마시고 수십 년 뒤 미국이 독립한 이후에 깨어난다.
이 소설은 게르만 설화인 <Peter Klaus>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염소치기인 피터 클라우스는 무리를 이탈한 염소를 찾기 위해 숲에 들어갔다가 놀이를 하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 그들이 권하는 와인을 맛보고는 20년 후에 깨어나게 된다.
'해외문학 > 요약,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문/요약] Thoreau - Where I Lived, and What I Lived For (1) | 2021.10.27 |
---|---|
[요약] 로빈슨 크루소 표류 이전까지의 줄거리 (0) | 2021.04.11 |
[정리] 로빈슨 크루소의 진위성 (0) | 2021.04.08 |
[요약중] 아르고 호 이야기 (0) | 2021.04.04 |
[요약중] 오뒷세이아(오디세이) 줄거리 (0) | 2021.03.22 |
댓글